강의계획표

[신약총론]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신약총론
교수명
이동수 교수(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과목개요
신약총론(Introduction of the New Testament)의 두 분야인 일반총론(General Introduction)과 특수총론(혹은 각론, Special Introduction) 중에서 일반총론의 영역인 서론, 계시론, 영감론, 정경론, 사본론, 배경론 등을 살피고, 각론에서 마태복음에서 계시록까지를 일괄한다.
교육목표
1.신약성경의 구속사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하나님의 말씀인 신약성경이 사람의 책으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우리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도인 신약성경 각 권의 개요를 말할 수 있다.
수업교재
1. 한글성경
2. UBS4(NA27)
3. 이동수, <신약총론>, 미간행 강의안, 2025.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강의 출석 및 소감문 작성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신약총론 서론, 계시론
2주차
영감론, 정경론
3주차
사본론
4주차
본문비평, 한역성경연구
5주차
배경론
6주차
공관복음서의 유래, 마태복음
7주차
마가복음, 요한복음
8주차
누가복음, 사도행전
9주차
로마서-갈라디아서
10주차
에베소서-빌레몬서
11주차
히브리서-유다서
12주차
요한계시록, 마무리

[서론/신론]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서론/신론
교수명
이동영 교수(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과목개요
이번 학기에 우리는 신학서론과 신론을 다룬다.
신학서론이 신학의 방법과 원리를 공부하는 분야라면, 신론은 우리 구원의 하나님이시며 예배의 대상이신 삼위일체 하나님을 공부하는 분야이다.
신학서론이 신학의 방법론을 다루는 조직신학의 총론이라면, 신론은 조직신학 각론들(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가운데 첫 번째 과목으로서 우리 구원의 하나님이시며, 우리 예배의 대상이신 삼위일체 하나님을 다루는 기독교 신학의 ‘본질적인 교리’(doctrina essendi)이다.
신학의 방법과 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신학의 각론으로 들어가서 개별 교리들을 취급하다가는 갈피를 못 잡고 큰 혼란에 빠지는 것처럼, 삼위일체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는 우리 예배의 대상이신 하나님에 대하여 무지한 채 예배를 드리고 신앙생활을 하는 우를 범하고 말 것이다.
교육목표
1.신학서론과 삼위일체론의 아우트라인(outline)을 공부한다.
2.신학서론과 삼위일체론의 주요 내용을 공부한다.
수업교재
- 이동영 지음, 『신학 레시피: 스토리텔링으로 배우는 신학의 방법과 원리』 (서울: 새물결플러스, 2020).
- 이동영 지음, 『송영의 삼위일체론』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중간: 과제/기말: 시험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강의를 시작하며:신학 방법론의 중요성/신학의 방법과 원리
2주차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신학이란 무엇인가?
3주차
신학과 예배/좋은 신학의 요건/신학의 기능
4주차
고대 신경들/계시란 무엇인가?
5주차
특별계시/성경 영감론
6주차
신앙론
7주차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중요성/신학과 경륜
8주차
구약의 신론과 신약의 신론의 강조점의 차이/말씀의 신학과 경험의 신학
9주차
기독교 신론으로서의 삼위일체론/동방과 서방의 삼위일체론/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10주차
삼위일체 교리의 예비와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양대 이단/삼위일체의 내적 구성의 원리
11주차
경륜적 삼위일체와 내재적 삼위일체
12주차
삼위일체의 신비와 그 사랑의 실천에 관하여

[초대교회사]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초대교회사
교수명
서성진 목사(前 부산대학교 강사)
과목개요
초대교회의 역사를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맥락 그리고 관련인물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전반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교육목표
1. 초대교회의 역사적 배경과 그 흐름을 알아본다.
2. 초대교회의 사상적 발전과 정립 및 관련인물들의 기여에 관해 살펴본다.
3. 초대교회사의 의의와 오늘날의 교회에 관한 그 적용점을 생각해본다.
수업교재
[주교재] 박용규, 『초대교회사』,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1998(4쇄)
[부교재]
서요한, 『초대교회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김기홍, 『이야기 교회사(상)』, 서울: 도서출판두란노, 1994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강의 출석 및 소감문 작성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초대교회사의 범위와 역사적 배경
2주차
초대기독교에 대한 박해와 그 영향
3주차
속사도 열전
4주차
초대교회 이단의 발흥과 교회의 응전
5주차
기독교 변증 1 - 소아시아 신학과 라틴신학
6주차
기독교 변증 2 - 알렉산드리아 신학
7주차
삼위일체 논쟁과 기독론 논쟁
8주차
초대교회의 위대한 교부들과 그들의 공헌
9주차
어거스틴의 신학과 사상 1
10주차
어거스틴의 신학과 사상 2
11주차
수도원제도와 교황제도의 발달
12주차
초기 기독교세계선교와 초대교회사 평가

[교회교육의 실제]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교회교육의 실제
교수명
이현민 교수(고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과목개요
교회교육을 비롯한 모든 교육활동은 공동체적인(사회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공동체 구성원 간 교육에 대한 동일한 이해와 비전의 공유는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이 과목은 교회교육에 관련된 주요 개념과 원리를 탐구함으로써 교회교육에 대한 공통의 이해와 비전을 공유하는 것을 주안으로 삼는다.
교육목표
1.교회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
2.교회교육에 관련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한다.
3.동일교회에서 실천하는 교회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수업교재
하워드 헨드릭스 (2013). 삶을 변화시키는 가르침. 생명의 말씀사.
(필요할 경우 강의자가 참고자료와 읽을거리를 제공함)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강의 출석 및 소감문 작성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교회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2주차
교육을 통해 무엇을 기대하는가?(교회교육의 목적과 목표)
3주차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교회교육의 내용, 교육과정)
4주차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교회교육의 방법)
5주차
하나님께 교육의 과업을 받은 세 주체(가정, 교회, 학교의 교육 과업과 책임)
6주차
우리가 교육할 다음 세대는 어떤 사람인가?(학습자에 대한 이해)
7주차
교회학교 부서별 교육1(유치부, 유년부)
8주차
교회학교 부서별 교육2(초등부, 중고등부)
9주차
교회학교 부서별 교육3(청년부, 장년부)
10주차
교회교육의 새로운 영역(중년이후 노년기 성도들을 위한 교육)
11주차
교회학교 교사의 자질과 권위
12주차
교회학교의 조직과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