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표

[구약성경주해] 최만수 목사

교과목명
구약성경주해
교수명
최만수 목사(前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과목개요
본 과목은 구약성경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주석할 수 있는 기초적인 해석 원리와 방법론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목표
1.구약성경 해석의 전제와 방법들을 익힌다.
2.구약성경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문학적 영역에 대해 이해한다.
3.성경 해석에 따른 바른 적용을 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수업교재
주교재: J. 스코트 듀발, J. 다니엘 헤이즈, 『성경해석』 (2009, 2023). 개정판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과목 오리엔테이션 및 ‘성경 해석학’/’성경 주해’에 대한 이해
2주차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해석여행, 문장(56-103)
3주차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단락과 담화(104-161)
4주차
맥락: 역사적-문화적 맥락(165-206), 문학적 맥락(226-248)
5주차
맥락: 단어 연구(249-286), 성경번역본(27-55)
6주차
의미와 적용: 누가 의미를 통제하는가? 의미의 계층(289-338)
7주차
구약: 내러티브(522-557)
8주차
구약: 율법(558-586)
9주차
구약: 시가서, 선지서(587-667)
10주차
구약: 지혜서(668-707)
11주차
성령의 역할, 적용(339-378)
12주차
구약 주해 실천(기말고사 및 주해 보고서 쓰기)

[교회론/종말론]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교회론/종말론
교수명
이동영 교수(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과목개요
이번 학기에 우리는 교회론과 종말론을 다룬다.
교회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성도들이 이루는 공동체에 관한 교리라면, 종말론은 이 세상의 마지막과 완성에 관한 교리이다.
본 수업을 통해서 교회론과 종말론의 중요한 사안들, 즉 이 교리들의 성경적 배경을 위시하여, 이 교리들의 주요 내용들을 공부해 보기를 원한다.
교육목표
1.교회론과 종말론의 성경적 배경을 공부한다.
2.교회론과 종말론의 중요한 내용들을 공부한다.
3.우리의 신앙과 삶에 있어서 교회론과 종말론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본다.
수업교재
- J. 판 헨드렌 & W. 펠레마, 개혁교회 교의학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8), 제13장. 교회, 제14장. 은혜의 방편들, 제15장. 종말론.
- H. G. 푈만 저, 이신건 역, 교의학 (서울: 신앙과 지성사, 2012), 제11장. 구원의 수단들에 관하여, 제12장. 교회에 관하여, 제13장. 마지막 일들에 관하여.
- 안토니 후크마 저, 류호준 역, 개혁주의 종말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2).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강의를 시작하며:
(1) 조직신학에서 교회론 종말론의 위치
(2) 20세기 교회론 연구의 부흥과 교회론에 대한 반성적 성찰
2주차
교회의 의미와 교회론의 성경적 배경
3주차
교회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는 장애물, 그리고 교회의 본질과 형태
4주차
교회론의 역사: 역사 속에서의 교회론의 변화
5주차
교회의 네 가지 속성과 직분
6주차
참된 교회의 표지와 은총의 수단
7주차
종말론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종말론의 성경적 배경
8주차
종말론의 역사
9주차
현대 종말론의 유형
10주차
종말론의 쟁점(1)
11주차
종말론의 쟁점(2)
12주차
종말론과 하나님의 나라

[한국교회사]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한국교회사
교수명
황대우 교수(고신대학교 학부대학)
과목개요
기독교가 한국에 전래된 시대의 역사를 따라 살피되 한국교회의 특징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한국기독교 역사 전반을 소개한다.
교육목표
1. 한국에 전래된 개신교의 역사를 바르게 알기.
2.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를 바르게 알기.
3. 한국 기독교 전래의 의미를 바르게 알기.
수업교재
김영재. <한국교회사>. 수원: 합신대학원출판사, 2009(개전 3쇄).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귀츨라프는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인가?
2주차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 한국 기독교 전래와 경교
3주차
로마가톨릭의 선교와 한국천주교
4주차
개신교 선교의 시작
5주차
한국에서의 초기 기독교 선교와 수용 및 선교정책
6주차
한국 개신교 교회의 설립과 부흥
7주차
자립하는 한국교회
8주차
한국 개신교의 성장 1
9주차
한국 개신교의 성장 2
10주차
1930년대 한국교회의 시련
11주차
1945년 광복을 맞이한 한국교회
12주차
한국교회의 분열

[기독교 상담의 실제]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기독교 상담의 실제
교수명
박민수 교수(계명대학교 기독교학과 기독교상담학)
과목개요
본 교과목은 기독교 상담의 새로운 모델인 성경 이야기 상담의 이론과 기법을 터득하고자 한다.
성경 이야기 상담은 일반 심리상담에서 다루지 못했던 성경을 중심으로 영성 상담을 제시한다.
교육목표
1.기독교 상담과 일반 상담의 차이를 이해한다.
2.성경 이야기 상담의 주요 개념을 이해한다.
3.성경 이야기 상담의 과정과 기술을 학습한다.
수업교재
오우성 박민수. 성경 이야기 상담 이론과 실제. 일산: 피앤씨에듀, 2025.
수업방식
온라인 강의
성적평가
수업주차
주차별 강의주제 및 내용
1주차
심리상담의 변천사와 기독교 상담의 위치
2주차
이론1, 성경과 상담
3주차
이론2. 성경 서사론과 상담
4주차
이론3. 성령론과 상담
5주차
이론4. 교회론과 상담
6주차
이론5. 성경적 심리학과 상담
7주차
기술1. 주호소 문제 파악 & 기술2. 성경 이야기 선정
8주차
기술3. 서사적 읽기
9주차
기술4. 인력 탐구기술
10주차
기술5. 조명자료 발견 & 기술 6. 조명자료 강화
11주차
기술7. 재저작
12주차
기술8. 지지적 신앙 공동체 형성